본문 바로가기
은행이야기

은행원 직급 및 직위 어떻게 될까요? ( 본점 / 영업점 / 임원 )

by 카르페디엠 니키 2023. 1. 24.

은행원 이야기 13번째입니다. 직급은 은행 별로 좀 다른 점도 있는데, 제가 우리은행 출신이기 때문에 우리은행 기준으로 말씀드리고, 직급별 특이점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은행원 이야기에 대해 더 궁금한 분은 아래 링크 참고해주세요

 

 

*은행이야기 다른 편
은행원 이야기 1편 - 내 이력
은행원 이야기 2편 - 은행원의 아침 업무
은행원 이야기 3편 - 은행 신입으로 들어오면?
은행원 이야기 4편 - 은행원 실적 압박
은행원 이야기 5편 - 은행원 연봉
은행원 이야기 6편 - 은행 창구별 업무 특성( 예금창구 , 상담창구 , 기업창구 , 로얄창구 )
은행원 이야기 7편 - 은행원들의 착각
은행원 이야기 8편 - 23년 우리은행 신년사 전문 분석
은행원 이야기 9편 - 은행 취업 현실 - 스펙 , 학벌 , 자격증 , 영어 점수
은행원 이야기 10편 - 23년 신한은행 신년사 전문 분석
은행원 이야기 11편 - 은행 퇴사를 한 이유 영업점 편
은행원 이야기 12편 - 은행 퇴사를 한 이유 본점 편
은행원 이야기 13편 - 은행 직급
은행원 이야기 14편 - 발령 받으면 좋은 지점, 안 좋은 지점
은행원이야기 15편 - 은행원 퇴근시간, 워라밸

은행원이야기 16편 - 은행 본점 vs 지점 비교, 차이점

은행원이야기 17편 - 은행 취업에 실패하는 이유(feat. 인적성)

은행원이야기 18편 - 본점 부서와 업무는 어떤 게 있을까요?(feat. 입사 후 포부)

 

 

 

1. 은행 영업점 ( = 지점 ) 직급

  • 지점장 ( = 금융센터장 ) : 센터장과 지점장은 직급은 동일하나, 조금 더 큰 지점을 센터라고 부름.
  • 부지점장 : 부지점장부터는 개인차가 심하게 발생.
  • 차장 : 과장이 되고 5년쯤 지나면 차장으로 승진.
  • 과장 : 대리가 되고 3년 ~ 5년되면 과장이 승진. 어떤 은행은 과장 시험이 있어서 통과해야 과장 승진 가능.
  • 대리 : 계장이 되고 5년쯤 되면 대리 승진
  • 계장 : 대졸로 취업한 남자사원
  • 주임 : 대졸로 취업한 여자사원
  • 사원 : 고졸 사원으로 입사했을 때

 

 

 

 

 

 

 

우리은행 영업점 직급 순서는 위와 같습니다. 다른 은행도 크게 차이 나지 않고 거의 동일합니다. 농협에 가보면 과장대리라는 직급이 있는데, 과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점은 지점장, 금융센터는 금융센터장 혹은 센터장이 있는데, 금융센터와 지점은 동일한 영업점이고, 센터장과 지점장도 동일한 직급입니다. 다만, 지점장도 등급이 있는데, ( M1 ~ M5 ) 등급에 따라 권한과 연봉이 조금 다릅니다. 금융센터는 큰 지점이니  M1 ~ M2 직급의 지점장이라고 보시면 되고, 지점같은 경우는 M3 이하의 지점장이실 확률이 높겠죠.

 

 

우리은행 포함 시중은행은 대학교, 대학원, 군대를 호봉으로 인정을 해주기 때문에 2년제 대학교, 4년제 대학교, 군대, 대학원 졸업 여부가 은행에서의 첫 직급에 영향을 미칩니다. 처음 은행을 들어온 4년제 대학, 군대 다녀온 남자신입은 보통 계장으로 시작하고, 4년제 대학 여자는 군대 1년 6개월 ~ 2년이 빠지기 때문에 주임으로 시작합니다.

 

 

과장, 계장 같은 경우가 공무원이랑은 굉장히 헷갈릴만한데, 보통 공무원에서 과장이면 은행 지점 지점장, 회사의 부장 같은 느낌입니다. 나이대로 보면 50대 이상이신 분들이죠. 왜냐하면 공무원의 세무과, 건축과가 일반 회사의 부서, 그리고 은행의 지점 느낌이라서 공무원의 과장은 부서장인 거죠.  하지만 은행에서 은행 들어온지 10년 ~ 13년 정도 지나면 과장이 됩니다.  처음 과장이 되는 나이는 보통 30대 중후반, 늦어도 40대 초반 정도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리고 공무원은 과 아래 계로 나뉘어져있어서 공무원 사회에서 계장이면 부서안의 팀장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나이로 치면 40대 후반 ~ 50대 초반인거죠. 하지만 은행에서 계장은 남자 신입(20대 중후반 ~ 30대 초반) 정도의 직급입니다. 저도 처음 은행 들어오자마자 계장이었는데, 이런 직급 체계를 모르는 분이 저보고 승진 빨리 하셨네요. 라고 했던 기억이 있네요. 은행에서의 지점 아래 각 기업팀, PB팀, 예금팀, 상담팀 등의 각 팀장은 보통 부지점장, 차장이 주로 맡습니다.

 

 

직급을 대분류로 좀 더 크게 묶자면 직급을 관리자급 / 책임자급 / 행원급 으로 나뉘어집니다. 관리자급은 지점장,부지점장, 책임자급은 차장, 과장, 행원급은 높은 순으로 대리, 계장, 주임, 사원입니다. 책임자급은 차장, 과장이고, 행원급은 대리, 계장, 주임, 사원입니다. 행원급에서 책임자급으로 넘어갈 때, 책임자급에서 관리자급으로 넘어갈 때 승진이 빠르고, 늦고 속도에 차이가 생깁니다. 또한 관리자급 / 책임자급 / 행원급에 따라 연봉 산정 방식도 차이가 생깁니다.

직급 대분류 직급 소분류
관리자급 지점장
부지점장
책임자급 차장
과장
행원급 대리
계장
주임
사원

 

 

 

 

 

 

 

승진 속도 차이는 예를 들어, 처음 은행에 들어가면 행원급인 대리까지는 호봉에 맞춰 승진을 합니다. 하지만 책임자급 과장으로 넘어갈 때 우리은행 기준으로 2년 ~ 3년 정도까지 승진 속도 차이가 납니다. 사고를 많이 쳐서 만년 대리로 남은 사람도 딱 1번 본 적이 있지만, 흔한 경우는 아닙니다. 기업은행 등 몇 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책임자 시험이 있어서 통과하지 못할 경우 과장 승진이 어렵다고 합니다. 아예 어려운 건지 몇 년 더 늦어지는 건지는 모르겠네요.

 

 

또한 과장이 되고 나면 차장까지는 호봉이 쌓이면 승진이 되지만, 차장에서 관리자급인 부지점장이 되는 건 우리은행에서는 개인차가 엄청 납니다. 빠른 분은 40대 초반에 부지점장이 되시는 분들이 있고, 차장으로 55세에 정년 퇴직하는 분들도 꽤 봤습니다. 부지점장 승진부터는 능력, 인맥, 운에 따라 정말 승진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리고 연봉 체계가 다른데, 관리자급은 책임자급/행원급보다 지점 실적에 따라 성과급의 비율이 커집니다. 차장에서 부지점장이 되면 당연히 연봉이 상승하지만, 영업점 실적에 따라서 지점장, 부지점장은 기본급 외에 성과급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래서 실적이 안 좋은 지점 같은 경우에는 부지점장과 차장 연봉 차이가 많지 않은 반면, 실적이 좋은 지점에서 부지점장과 차장의 연봉 차이가 많이 납니다. 

 

 

2. 은행 본점 직급

은행 본점 직급은 영업점과 차이가 살짝 있습니다. 은행 본점은 영업부, 인사부, 자금부, 글로벌전략부, 홍보부 이렇게 부서 체계라서 지점장이 아닌 부장이라고 불리며,  부지점장이 아니라 부부장입니다.

 

 

참 지점장대우 , 부장대우 등의 직급이 있는데, 이 직급에는 다양한 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제 직급은 지점장, 부장이지만 배치할 수 있는 지점이 충분하지 않아서 일단 속한 곳에 지점장, 부장은 따로 있고, 지점장 대우, 부장 대우 직급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분들은 어떻게 보면 다른 곳으로 곧 배치되어 부장, 지점장이 되실 분들이죠. 또 한편으로 퇴직 후 임금피크로 일하시는 분이나, 정년 퇴직한 나이인데 은행의 필요에 의해서 계약직으로 오시는 분들에게 나이에 맞는  직급을 줘야 하기 때문에 부장대우로 직급을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쨌든 상황은 각각 다르지만 부장 대우, 지점장 대우는 해당 지점에서 부장, 지점장은 아닙니다.

 

 

 

 

 

 

지점 직급 본점 직급
지점장 부장
부지점장 부부장
차장 동일
과장 동일
대리 동일
계장 동일
주임 동일
사원 동일

 

 

3. 은행 임원 직급

그렇다면 지점장, 부장 위의 직급 위의 임원 직급은 어떻게 될까요? 아래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 은행장
  • 부행장 ( = 그룹장 )
  • 전무 ( = 그룹장 )
  • 상무 ( = 그룹장 )
  • 영업본부장

 

 

 

 

 

 

 

은행에서는 부지점장, 부부장 같은 일반 회사에서 없던 직급이 있는데, 임원도 다른 회사에 많지 않은 영업본부장이라는 직급이 있습니다. 은행에서 영업본부는 지역에 있는 지점을 묶어 관리하는 곳을 영업본부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관악동작영업본부가 있는데, 이 본부는 관악구, 동작구에 있는 지점의 영업을 총괄 관리합니다. 이외에도 강남영업본부, 구로금천영업본부, 충남영업본부, 강원영업본부 등등 굉장히 많습니다. 영업본부장 직급인 분들은 은행에 꽤 많습니다. 

 

 

이제 영업본부장에서 승진을 하게 되면 상무, 전무 등이 되어 은행 본점에 들어가서 본점 부서들을 모아놓은 한 그룹(혹은 본부 / 영업본부와는 차이가 있음)의 그룹장이 됩니다. 통상 이 그룹장을 부행장이라고 부릅니다. 본부장은 영업본부장을 보통 뜻하기 때문에 본부장이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그래서 직급은 상무, 전무, 부행장이지만 실제 부르는 직함은 부행장이라고 부릅니다. 모두 부행장이라고 부르지만 이 분은 전무, 부행장 등 직급이 다 다릅니다. 아마 직급이 계속 올라가서 실제 직급이 부행장이 되시면 은행장이 될 수 있는 자격이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임원 직급이나 직함은 제가 있는 동안에도 계속 바뀌고 암묵적인 불문율 같은 부분을 말씀드렸는데 계속 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이미 지금도 바뀌었을 수도 있구요. 또 임원 체계는 다른 은행은 좀 다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되네요 ㅎㅎ 이번 은행원이야기 13번째 여기까지입니다.

은행-직급
은행-직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