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이 알려주는) 호갱노노 어플, 현재 시점 조정대상지역 , 투기과열지구 , 투기지역 확인법
2017년부터인가 한해에 몇번이나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이 풀렸다가 다시 설정됐다가 한다. 그래서 아무리 외우려고 해도 외우기 쉽지 않고, 새로운 투자처인 경우 여기가 조정대상지역인지 아닌지 애매하다. 부동산 정책을 봐도 투기과열지구에서 풀렸다는 이야기가 조정대상지역이 됐다는 건지, 아예 비규제지역으로 조정대상지역에서도 벗어났다는 건지 헷갈리게 되어있다. 하지만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등을 파악을 안하고 투자 하기엔 내가 너무 대출이나 세금(취득세, 양도세, 종부세)에서 너무 중요하다는 거 ㅠㅠ 이런 어려운 상황을 간단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어플이 있다. 바로 호갱노노.. 매번 호갱노노 어플의 기능에 감탄을 한다. 의외로 정말 간단하다. 이 어플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호..
2022. 11. 24.
(은행원이 알려주는) 중도해약금, 중도상환수수료의 모든 것
중도상환해약금과 중도상환수수료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할 것 같은데, 정확히 말하자면 상당한 오랜 기간 중도상환수수료라는 이름이었는데 4~5년 전이었던가 중도상환해약금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즉, 똑같은 개념이다. 중도상환해약금이란 거는 대출을 받았는데, 갑자기 내일 상환을 해버리면 은행은 기대수익(이자수익)을 받지 못하고 대출을 실행하면서 드는 인건비를 회수하지 못한다. 그래서 중도상환해약금을 받는다. 1. 중도상환수수료율 보통 중도상환해약금은 0.7% ~ 1.5%를 하는데 대출의 용도별(신용대출, 전세대출, 담보대출/ 개인대출, 기업대출)로 다르고 은행별, 상품별로 다 다르다. 보통 담보대출의 중도상환해약금은 1.2%~1.5%, 신용대출, 전세대출은 0.7~1.0%인데 이유는 담보대출이 중도상환해약금이 더..
2022. 11. 21.